본문
족보는 보통 사진, 서문, 비문, 기타 선조 관련 문헌과 발문, 항렬표, 세계도, 색인록, 자손록, 부록 등의 편집된 자료를 하나로 규합하여 책을 만든다. 따라서 상기 편집된 자료를 가지고 보기 좋고, 열람하기 편리한 족보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게재(揭載)해야 한다.
지금까지 발간된 족보를 살펴보면 편집 페이지 양(量)과 씨족구성도 그리고 책 두께, 제작비용 등에 따라 게재(揭載) 순서가 조금씩 다르나 대부분의 족보는 아래 순서에 의하여 게재(揭載)한다. 여러 권으로 족보를 발간하는 경우와 한 권으로 족보를 발간하는 경우에도 게재 순서는 비슷하다. 게재할 내용과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보(畵報), 묘산도(墓山圖), 차례(次例), 서문(序文), 비문(碑文), 세계도(世界圖), 항렬표(行列表), 발문(跋文), 색인부 등은 책의 앞부분(1권)에 배열한다. 원래 발문(跋文)은 책 말미에 싣는 것이 관례(慣例)이나 족보의 특성상(特性上) 책 앞 부분(1권)에 수록하는 경우가 많다. 색인록은 1권에 수록(收錄)하거나 자손록 각 권 앞부분에 수록하기도 한다. 대동보와 같이 색인록 페이지가 많으면 별권(別卷)으로 만들기도 한다.
자손록은 책이 한 권으로 구성되었을 경우에는 문헌 또는 색인록이 끝난 다음 페이지부터 수록하며 자손록 페이지가 많을 경우에는 파(派) 또는 세(世) 별로 분류하여 여러 권으로 나누어 제책한다. 부록(附錄)은 족보를 보는데 필요한 관직해설(官職解說), 지명(地名), 동서양연대표(東西洋年代表), 관아명칭(官衙名稱) 등이 수록된 자료로서 책 마지막 부분에 보편적으로 수록한다.
본 배열표(配列表)는 일반적인 상황이며 각 족보의 특성이나, 편집 분량, 책 구성 등을 고려하여 게재(揭載)하면 된다. 즉, 한 권으로 족보를 만들 때와 여러 권으로 족보를 만들 때는 게재 순서가 각 문중마다 조금씩 다르다고 보면 된다.
[족보 게재 순서 및 편성 내용] |
족보는 대부분 아래 순서대로 게재한다. ① 사진 : 선조님 관련 묘, 영정(影幀), 재실(齋室) 기타 유물(遺物)사진, 묘산도(墓山圖) 등은 책의 앞부분에 수록한다. ※사진을 차례 앞에 게재한 경우도 있고 차례를 사진 앞에 게재한 경우도 있다.(상황에 따라 게재하면 된다) ② 차례 : 현재 발간된 족보를 살펴보면 차례는 사진 다음에 게재하는 족보가 대부분이다. 사진 앞에 게재한 족보도 있다. ③ 발간사 또는 서문 : 대종중(大宗中) 회장 또는 편찬위원장(編纂委員長), 도유사(都有司), 이사장(理事長) 외 여러분들이 쓴 발간사(發刊辭)와 서문(序文)을수록한다. ④ 구보(舊譜) 서발(序跋) : 구 족보의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을 연도 별 발간 순서대로 수록(收錄)한다. ⑤ 구보 범례 : 구 족보의 범례(凡例)를 연도 별 발간 순서대로 수록(收錄)한다. ⑥ 선조사적(先祖事跡) : 선조님의 사적(事跡) 및 비문(碑文) 등을 수록한다. ⑦ 항렬표(行列表) : 대동 항렬표 또는 각 파 항렬표(行列表)를 수록한다. ⑧ 발문(跋文) : 발문을수록한다. ⑨ 세계도(世系圖) : 수권(1권)에 세계도(世系圖)를 수록한다. 세계도(世系圖)는 족보에 등재된 모든 분들의 이름(諱)을 찾아보기 쉽게 도표로 만들어 수록한다. 간혹 대동보 또는 큰 문중의 파보를 발간하는 경우에 발간비용(發刊費用) 등을 절감하기 위하여 시조부터 중시조(中 始祖=派祖)까지의 휘(諱)자만을 기재하여 도표로 만든 경우도 있다. ⑩ 색인록(索引錄) : 색인록(索引錄)은 수권(1권)에 수록하는 경우와 족보가여러 권으로 구성되었을 경우에는 자손록 각 권(各卷) 앞부분에 수록하기도한다. 대동보와 같이 색인록(索引錄) 페이지가 많을 경우에는 별권(別卷)으로 만들기도 한다. 책 두께, 족보의 특성에 따라 게재하여 제책(製冊)하면 된다.색인록은 자기이름과 아버지이름만 알면 등재(登載)된 족보 페이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편집해서 수록한다. ⑪ 자손록(子孫錄) : 자손록 편집 페이지가 많을 경우에는 파별(派別) 또는세(世)별로 분류하여 1권당 약 1,000페이지를 기준으로 적게는 약 700 페이지에서 많게는 약 1,500페이지를 한 권으로 분류하여 제책한다. ⑫ 부 록(附錄) : 부록은 족보 말미(末尾)에 수록한다.부록에는 관직해설(官職解說), 관아명칭(官衙名稱), 관직표(官職表), 지명보기, 동서양연대대조표(東西洋年代對照表) 등을 수록한다. |
※ 족보가 한 권일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진, 차례, 문헌, 세계도, 색인록, 자손록, 부록 순서대로 게재하여 제책한다.
※ 족보가 여러 권으로 구성되었을 경우에는 수권(首卷)에는 사진, 문헌, 세계도, 색인록, 부록 순으로 게재하여 제책한다. 때에 따라 대동보 등과 같이 색인록 페이지가 많을 경우에는 색인록을 수권(首卷=1권)에 게재하지 않고 색인록만 별권으로 만들기도 한다.
※ 자손록은 파별 또는 세별로 구분 편집하여 여러 권으로 나누어 게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