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족보를 편집할 때 프로그램을 구입하여 종회에서 직접 하든 업체에게 위탁하여 편집을 의뢰하든 족보전용편집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은 최소한 아래 항목 이상은 되어야 한다.
|
족보전용편집프로그램이란? 족보에 수록된 자손록, 계보도, 색인록을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
① 정서(正書)작업 없이 한글ㆍ한자족보가 자유자재로 편집ㆍ출력되어야 한다.
(수단이 들어오는 즉시 입력가능)
② 자유자재로 데이터의 추가(追加), 삭제(削除), 수정(修正)이 가능해야 하며 이에 따른 단(單)별로 입력된 계대(系代)가 자동 정렬(整列)되어야 한다.
③ 데이터 추가, 삭제 시 견상(見上)ㆍ견하(見下) 페이지 및 入ㆍ出系페이지 가 자동(自動)으로 변경되어 표기되어야 한다.
④ 자손록(子孫錄)만 입력하면 계보도(系譜圖)가 자동 편집ㆍ출력되어야 한다.
⑤ 자손록(子孫錄)만 입력하면 색인록(索引錄)이 자동 편집ㆍ출력되어야 한다.
⑥ 프로그램에 내장된 한자가 최소 명조체(明朝體) 45,000자, 해서체(楷書體) 25,000자 이상은 되어야 한다. 족보 편집 시 없는 한자는 컴퓨터로 벽자를 만들어 추후 족보전용편집프로그램에서 음(音)과 부수(部首)로 검색되어 입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⑦ 아라비아 숫자로 입력해도 연도 표기(表記) 등이 족보 범례에 맞는 한자(漢字) 표기로 자동 변환(變換)되는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예) 입력 : 20071230 ⇒ 결과 : 二○○七丁亥年十二月三○日
결과 : 丁亥二○○七年十二月三○日
결과 : 二○○七(丁亥)年十二月三○日
이외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자동 표기되어 입력속도가 빠르고 오타가 없다.
⑧ 본관(本貫), 성씨(姓氏), 관직(官職) 기타 단어 등을 한글로 입력한 후 특수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아래와 같은 모양으로 변환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예) 입력 : 영의정 ⇒ 결과 : 領議政
결과 : 영의정(領議政)
결과 : 領議政(영의정)
이외에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자동 변환(變換)되는 기능이 있어야 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오타도 줄일 수 있다.
⑨ 종서 족보에서 숫자 가로쓰기 기능이 있어야 한다.(가로쓰기를 하면 페이지가 많이 줄어든다)
⑩ 약 1~3일 정도의 교육으로 족보를 편집할 수 있는 범용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즉 글씨크기, 서체(書體), 행수(行數), 단(單) 변경 등을 업체의 도움 없이 종친회에서 담당하는 직원이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이 기능이 있어야 추후 다양한 형태의 족보를 업체의 도움 없이 발간할 수 있다.
⑪ 내려쓰기를 쉽게 할 수 있는 편집기능이 있어야 한다.
⑫ 한번 입력된 데이터로 종서족보(縱書族譜), 횡서족보(橫書族譜)를 자유자재로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⑬ 이름입력 즉시 뿌리를 찾을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⑭ 족보 편집 시 DB가 자동 구축되어 추후 전자족보나, 인터넷족보 구축 시 입력한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인터넷족보의 주요기능]
① 자손록이 족보책과 동일한 폼으로 화면에 나타난다.
② 족보책과 인터넷족보의 서체가 동일하다.
③ 見上·見下 및 入·出系 연결 페이지를 클릭 한 번으로 찾아간다.
④ 족보 열람 시 글씨크기를 자유롭게 확대·축소하면서 볼 수 있다.
⑤ 한자족보 제작시 한자옆에 한글음이 있어 한자를 잘모르는 후손들도 쉽게 읽을 수 있다.
⑥ 자손록은 e-book형태로 구성되어 컴퓨터 사양과 환경에 상관없이 열람할 수 있다.
⑦ 앞, 뒤 페이지가 이동된다.
⑧ 직계검색이 된다.
⑨ 이름이 같을 경우 아버지, 할아버지를 비교하여 찾을 수 있다.
⑩ 촌수계산이 된다.
⑪ 족보를 보면서 인물사진, 가족사진, 묘소, 유적지, 묘비, 훈장, 표창장 등 각종 사진을 함께 볼 수 있다.
⑫ 묘소 위성사진을 볼 수 있다.
⑬ 이름 외 字, 號, 初名, 一名, 관직, 배우자 이름, 족보등록번호 등 족보에 수록된 어휘를 입력해서 족보를 찾을 수 있다.
⑭ 후손 맟 각종 통계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