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族譜)를 발간하려면 먼저 종중회의(宗中會議)를 거쳐 족보편찬위원회(族譜編纂委員會)를 구성해야 한다. 다만, 종친회(宗親會)가 아닌 가까운 일가친척들로 구성된 가승보(家乘譜) 형태의 족보를 발간하려고 하는 소문중은 집안회의를
인터넷족보의
주요 기능은 프로그램개발회사 간에 표현방법에 있어
다소 차이는 있으나 최소한 아래 기능 이상은 있어야한다.
[주요
기능 보기]
ㅁ
이름 입력 즉시 아버지와 할아버지 이름,
派, 世를 대조하면서 뿌리를 찾아 족보를
열람할 수 있는 검색기능이 있어야 한다.
ㅁ 출생일, 사망일,
관직, 字, 號, 譜名, 배우자이름 등으로도
자기가 수록된 족보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ㅁ 기타 방주란에
수록된 단어로도 족보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ㅁ 이름 입력 후 약
7초 내외로 자기의 족보를 볼 수 있도록
검색속도가 빨라야 한다.
ㅁ 책보기에서 자손록이
족보 책과 동일한 폼으로 화면에 나타나야
한다.
ㅁ 족보 책과 인터넷족보의
책 보기 기능에서의 서체가 동일해야 한다.
ㅁ 족보 책보기에서
자손록에 기재된 견상ㆍ견하 및 入ㆍ出系
페이지를 클릭하면 연결되는 페이지로
곧장 찾아가야 한다.
ㅁ 족보 책보기에서
자손록 화면의 글자 크기가 자유롭게 확대,
축소가 되어야 한다.
ㅁ 한자족보 제작
시 한자 옆에 한글 음이 있어 한자를 잘
모르는 후손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ㅁ 책보기에서자손록은
텍스트(PDF)파일로 구현해야 검색속도가
빠르고 화면을 확대해도 깨끗하게 화면에
나타난다.
※이미지파일로
책보기를 구현하면 검색속도가 느리며
깨끗하지 못하다. 또한 XML파일로 족보보기를
구현할 수도 있는데 서체 등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는데 불편함이 있어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현재 인터넷상에 구축된
신문, 잡지 기타 전자문서 및 전자도서는
대부분 PDF파일로 만들어 구축되어 있다.
ㅁ 앞, 뒤 페이지
이동이 되어야 한다.
ㅁ 직계 또는 가계도
검색이 되어야 한다.
ㅁ 촌수계산이 되어야
한다.
ㅁ 족보를 보면서
개인이 제출한 동영상과 인물사진, 가족사진,
묘소, 유적지, 묘비, 표창장 등 각종 사진을
볼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ㅁ 인사말씀, 발간사,
종중소개 등의 각종 동영상을 볼 수 있다.
ㅁ 선조님의 영정,
유적지 등의 사진을 볼 수 있다.
ㅁ 인구통계, 관직통계
등 각종 통계를 볼 수 있다.
ㅁ
관직ㆍ관청해설, 지명해설, 계촌법, 연대표
등 족보와 관련된 자료를 볼 수 있도록
수록되어 있어야 한다.
[인터넷족보
검색화면]
홈페이지에서 인터넷족보
항목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인터넷족보
검색화면이 나타난다.
<↓결과>
[족보
찾기 기능]
ㅁ
족보 즉 뿌리를 찾을 때에는 먼저 성(姓)을
빼고 ①찾는 사람의 이름과 ②아버지이름을
입력한 다음 ③찾아보기를 클릭하면 쉽게
뿌리를 찾을 수 있다.
ㅁ 그 외 본문검색에서
字, 號, 譜名, 배우자이름, 관직, 출생일,
사망일 기타 방주(傍註)란에 기재된 단어를
검색하여 뿌리를 찾을 수도 있으므로 이름으로
뿌리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방주란에
기재된 字, 號, 譜名 등의 단어를 검색하여
찾아본다.
ㅁ
족보에는 같은 이름이 많이 있으므로 본인이름과
아버지이름을 동시에 입력하는 것이 가장
빨리 찾을 수 있다.
[책보기
기능]
ㅁ
뿌리를 찾고 난 다음, 아래 그림에 표시된
①책 보기를 클릭하면 찾는 분이 수록된
자손록이 ②보책(譜冊)과 똑같은 폼으로
화면에 나타난다.
ㅁ 본 파일은 텍스트(PDF)로
변환되어 확대해도 글씨가 깨끗하고 검색속도가
빠르다.
※PDF가
아닌 XML파일로 책보기를 보여주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엔 서체 등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는데 불편함이 있어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그 외 이미지파일은
검색속도와 화면해상도가 많이 떨어져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결과>
[한글
음 자동 부여 기능]
자손록을
한자로 편집하였을 경우 보책(譜冊) 발간
시에는 자손록 방주란의 한자 옆에 한글
음이 없이 인쇄하여 제작하나 인터넷족보의
자손록에는 한글 음이 자동 부여되어 한자를
모르는 사람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한다.
[見上ㆍ見下
및 入系ㆍ出系 연결 페이지 찾아가기 기능]
책보기의
자손록 화면 내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된
見上ㆍ見下 및 入系ㆍ出系 페이지를 클릭하면
곧바로 연결되는 페이지로 찾아간다.
[앞ㆍ뒤
페이지 이동 기능]
책보기에서
앞ㆍ뒤 페이지로 이동할 경우에는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면 앞ㆍ뒤 페이지로
이동한다.
[확대ㆍ축소
기능]
책보기에서
확대 또는 축소하여 책을 볼 경우에는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면 확대
또는 축소하여 책을 볼 수 있다.
[개인사진
및 동영상 보기]
책보기에서
사진기 및 비디오카메라 아이콘을 클릭하면
당사자의 사진 및 동영상을 볼 수 있다.
<↓결과>
[직계보기
기능]
ㅁ
직계보기 글씨를 클릭하면 당사자의 직계가
도표로 나타난다.
ㅁ
직계보기에는 부부직계보기, 가계도보기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결과>
[촌수
계산하기 기능]
일가
간에 촌수를 실시간으로 도표로서 확인할
수 있다.
<↓결과>
[부록보기]
족보를
보면서 관직해설, 관청해설, 지명해설, 연대표(年代表), 관직표, 천자문, 계촌법, 방위도(方位圖),
고사성어, 상례(喪禮) 등의 자료를 함께 볼 수
있다.
[통계보기]
전체인구통계」「世별
인구통계」「파(派)별 인구통계」「관직통계」「본관별
배우자통계」「본관별 사위통계」「연도별
출생ㆍ사망 인구통계」「출신학교통계」「이름
선호도 통계」「자녀수 통계」 등을 볼
수 있다.
▶전체인구통계
보기◀
▶世별
인구통계 보기◀
▶派별
인구통계 보기◀
<해설>
자식이 1명만 있는 가족이 9,675가구이고, 자식이 16명이
있는 가족도 1가구 있다는 통계 표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