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자손록 편집 시 기재(記載)순서] 자손록 기재순서는 아래 순서대로 하면 된다. ① 이름(=기두起頭)을 입력한다. ② 자(字), 호(號), 보명(譜名), 일명(一名) 등을 기재한다. (없는 경우는 기재하지 않는다) ③ 출생일을 기재한다. ④ 학력을 기재한다. 학력은 자유의사에 따라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박사학위 취득자는 ○○대학 ○○박사라고 기재한다.) ⑤ 경력을 기재하며 저술(著述) 및 상훈(賞勳) 등도 함께 기재한다. (경력 및 상훈도 자유의사에 따라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⑥ 사망일을 기재한다. ⑦ 묘 지번 및 좌향(坐向) 그리고 봉분 형태, 상석 등의 유무를 기재한다. ⑧ 배우자(配) 본관 및 이름을 기재한다. ⑨ 배우자(配) 출생일을 기재한다. ⑩ 배우자(配) 아버지 이름을 한글 및 한자로 기재한다. ⑪ 배우자(配) 학력을 기재한다.(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⑫ 배우자(配) 경력을 기재한다.(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⑬ 배우자(配) 사망일을 기재한다. ⑭ 배우자(配) 묘 지번 및 좌향(坐向) 그리고 봉분 형태를 기재한다. [자손록의 출가(出嫁) 여(女) 기재방법(記載方法)] ① 여(女)의 이름 표기방법은 아들과 같은 글씨 크기로 표기한다. 옛날에는 딸 이름 대신 사위 이름을 기재하였으나 요즘은 딸의 이름을 아들과 같은 글씨 크기로 기재한다. 그러나 등재 순서는 아들을 출생 순서대로 먼저 기재하고 나중에 딸의 출생 순서대로 등재하는 족보가 일반적이다.(先男後女) ② 출생일을 기재한다. ③ 학력을 기재한다. 학력은 자유의사에 따라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④ 경력을 기재하며 저술(著述) 및 상훈(賞勳) 등도 함께 기재한다. 경력 및 상훈도 자유의사에 따라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⑤ 사망일, 묘 지번 및 좌향(坐向) 그리고 봉분 형태를 기재한다. ⑥ 남편 이름 및 본관(本貫)을 기재한다. ⑦ 남편의 아버지 이름을 기재한다. ⑧ 남편의 학력 및 경력(經歷) 등은 편찬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기재하는 경 우도 있고,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⑨ 시집간 딸의 자식 이름 기재방법 즉 사위의 자식 이름을 출생 순서대로 子, 女를 표기하며 기재한다. ⑩ 구 족보에 딸 이름 대신 사위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딸 이름 을 알 수 있으면 딸 이름으로 변경하여 기재하고, 딸 이름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사위 이름을 그대로 둔다.(옛날에는 딸 이름대신 사위 이름을 족보에 등재하였음) 이전글 다음글 수정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