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씨 ○○○파보 단자기재요령(單子記載要領) ※표기는 표준말(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말)로 표기한다. 1.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지키되 연월일은 붙여 써도 무방하다. 2. 외명부(貞敬夫人, 貞夫人, 淑夫人, 淑人, 令人, 恭人, 宜人, 安人, 瑞人, 孺人)등은 한자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配의 밑에 쓴다. 3. 약물표기는 다음과 같다. 配는 한 자 올려 쓰고 나머지 약물은 모두 자손록과 같이 쓰되 줄을 바꾸지 않고 이어서 쓴다. 단 이어서 써도 그 줄에서 끝나지 않을 때는 줄을 바꾼다. <보기> : 4. 관직(官職)은 한글(漢字)로 병기한다. 예) 國務總理 - 국무총리(國務總理) 資中樞 - 자중추(資中樞) 壽通政大夫 - 수통정대부(壽通政大夫) 贈通政大夫 - 증통정대부(贈通政大夫) 5. 간지(干支)와 연월일 및 왕조(王朝) 표시는 원고에 있는 대로 표기하되, 왕명(王名)은 평민과 같이 내려서 적는다. 간지(干支)는 漢字만 표기한다. 예) 고종(高宗) 乙丑一九二五年十一月十三日 6. 출생은 생, 사망은 졸로 쓴다. 졸과 는 생의 바로 다음에 표기하고 바꾸지 아니해도 된다. 예) 一九二五年十一月十三日생(졸) 7. 묘지는 한글만으로 써도 무방하되 한글만으로 모를 것 같은 경우는 한자(漢字)를 병기한다. 행정구역은 한글로 표기하고 군 단위가 동명일 때 혼동하지 않도록 표기한다. 예) 강원도 고성, 경남 고성으로 하고, 행정 명칭이 아닌 “○○里” 以下의 소지명(小地名)은 한글(漢字)로 표기한다. 예) 충남 청양군 청남면 중산리 사현(砂峴) 8. 좌향은 “한글(漢字)” 병기를 원칙으로 한다. 예) 손좌(巽坐) 9. 이름은 “한글(漢字)” 병기로 한다. 예) 우제선(禹濟善) 10. 배위의 본관은 한글(漢字) 병기를 원칙으로 하고 ○○의 女는 ○○의 딸로 표기한다. 예) 配 ○○○씨(○○○氏) ○○의 딸 11. 학교, 학과, 직업은 한글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는 “한글(漢字)” 병기한다. 12. 수(壽), 향년(享年)은 한글로 “향년” 으로 통일하며 표기 앞줄에 이어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① 生父 表記 → 系子 ○○, 生父 ○○ ② 出系 表記 → 子 ○○, 出系 백부○○ ③ 딸 이름이 없이 사위 이름만 올라 있는 경우 婿로 표기하고 토는 달지 않는다. 예) 婿 吳鼎燮 딸의 이름이 있는 사위 이름은 夫로 표기 한다. 예) 夫 김동길(金吉東) <사위의 자손록> ㆍ사위의 부는 로, 증조, 고조는 증조, 고조로, 아들은 로 딸은 로 사위는 로 표기. 예) 길동(吉東), 증조 영철(英喆), 고조 길산(吉山) 준구(俊九) 윤희(潤熙) 홍길동(洪吉東), 사위의 사위는 구보에 있는 것만은 그대로 기재. ㆍ사위의 이름과 본관은 “한글(漢字)” 병기한다. 예) 이현도(李鉉道) 덕수인(德水人) 13. 无后, 无單은 아래 예)와 같이 한다. 예) 子 敬歷(경력) - 无后 또는 无單 14. 묘지 용어 先考下, 考兆下, 親兆下 : 아버지 묘 아래 公兆 : 공의 묘 公兆 祔 : 공의 묘에 합장 先姑兆(墓) : 시어머니 묘 考位 : 아버지 묘 後龍 : 뒷줄기 同原 : 같은곳 先兆下, 先塋下 : 선영 아래 先妣下, 妣兆 : 어머니 묘 아래 與公合封 : 공과 합봉 舅下 : 시아버지 묘 아래 乾位 : 남편 上同, 上原 : 위와 같은 곳 東(西⋅南⋅公兆北⋅同⋅左)麓 : 동쪽(서쪽⋅남쪽⋅북쪽⋅같은⋅왼쪽) 기슭 靑龍 : 왼쪽 산줄기 後岡 : 뒷산 下陵 : 아래언덕 上洞, 上原 : 위와 같은 곳 ○○公 ○○后 - ○○公 ○○의 후손 西峴 : 서쪽 고개, 白龍 : 오른쪽 산줄기 下嶝 : 아래 비탈 階下 : 묘 아래 ○○後, 量坪 後 : 양평(量坪) 뒤 祔左 : 왼쪽에 합봉 묘소를 합폄(合窆), 합봉(合封), 합분(合墳), 합장(合葬) 등 같은 뜻을 여러 가지로 표기한 것을 합봉(合封)으로 통일하였다. 15. 일휘, 초휘, 호적명 등은 일명으로 통일한다 16. 관직에서 生員, 進士, 文科, 武科등은 을 넣지 않는다. 17. 임(林) ○○번지는 산 ○○번지로 한다. ○○○씨 ○○○파보 간행위원회 이전글 다음글 수정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