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수단작성범례(收單作成凡例)
수단(收單)을 작성할 때에는 족보편찬위원회(族譜編纂委員會)에서 정한 범례(凡例)에 따라 수단(收單)을 작성해야 한다. 범례(凡例)에 따라 수단(收單)을 작성해야 족보내용의 공정성(公正性)이 확보된다. 따라서 수단을 접수하는 모든 분들에게 족보에 등재(登載)할 내용을 공평하게 올릴 수 있도록 범례를 정한다. 범례(凡例)를 정하지 않고 수단을 접수하면 출생일, 학력, 경력, 사망일, 묘소 표기 등이 규칙적이지 않아 편집 후 보기가 좋지 않고 또한 경력사항(經歷事項)을 많이 기록한 분들로 인하여 편집비용(編輯費用)과 인쇄비용(印刷費用)이 추가되어 예산집행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범례(凡例)에 따라 수단을 작성해야 할 것이다.
[수단작성범례] |
① 이름 기재방법 한자와 한글이름을 모두 기재한다. 예) 洪吉東(홍길동) ② 字, 號 기재방법(字와 號가 있는 경우) 예) 자(字)는 영호(英鎬), 호(號)는 무농(務農) ③ 출생, 사망일 연도 표시 서기로 년, 월, 일을 기재(記載)함을 원칙으로 하되 연도를 환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기존 족보에 기재(記載)된 간지(干支)를 그대로 적용한다. 예) 1980년 2월 15일 출생, 1987년 2월 15일 사망 ④ 학력 기재방법 신청자의 의사에 따라 최종학력을 기재한다.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학력은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예) ○○대학졸업, ○○대학 경영학박사, ○○고등학교졸업 ⑤ 경력 및 상훈 기재방법 경력은 최종경력 2가지 정도를 기록하며, 상훈은 간단한 수상내역을 기재한다.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예) ○○공무원정년퇴직, ○○회사 재직 중, ○○대학교수역임, ○○출판사 대표, 농장경영, ○○회사 대표이사 재직 중, ○○훈장수여, ○○장관 표창, ○○효행상 수여 등 ⑥ 묘(墓) 기재방법 묘는 지번과 좌향(坐向) 그리고 봉분(封墳) 형태를 기재한다. 예)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내곡리 산3번지 뒷산 선영(先塋) 을좌(乙坐 : 방향을 말함) 합폄(合?) 또는 쌍분(雙墳) 예) 화장의 경우 : ○○○납골당, ○○○납골묘, ○○○寺봉안 ※ 묘 이장(移葬) 시에는 이장된 묘 지번을 기재한다. 또한 묘소에 상석 등이 있는 경우에는 “상석 있음”이라고 기재한다. ⑦ 배우자 기재방법 配 김혜영(金惠英) 김해인(金海人) 부(父)○○를 기재한다. 출생, 사망, 학력, 경력, 묘 등 기재 방법은 남편과 동일하다. ⑧ 사위 기재방법 夫 김태식(金泰植) 김해인(金海人) 부(父)○○를 기재한 다음 출생 순서대로 사위의 자식이름을 기재한다. 사위의 출생, 사망, 경력사항 등은 대부분 기재하지 않으나 일부 족보에서는 기재한 경우도 있다. |
※ 수단작성범례는 족보의 특성 그리고 대대로 내려오는 문중의 전통 등을 고려하여 범례를 정한다.